Construal Level Mind-Sets Moderate Self- and Social Stereotyp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012, Vol. 102, No. 1, 51–68
Sean M. McCrea          Frank Wieber and Andrea L. Myers

Construal level theory suggests that events and objects can be represented at either a higher, more abstract level involving consideration of superordinate goals, desirability, global processing, and broad categorizations or a lower, more concrete level involving consideration of subordinate goals, feasibility, local processing, and narrow categorizations. Analogously, social targets (including the self) can be represented more broadly, as members of a group, or more narrowly, as individuals. Because abstract construals induce a similarity focus, they were predicted to increase the perceived fit between social targets and a salient social category. Accordingly, placing individuals into a more abstract construal mind-set via an unrelated task increased the activation and use of stereotypes of salient social groups, stereotype-consistent trait ratings of the self, group identification, and stereotype-consistent performance relative to more concrete construal mind-sets. Thus, nonsocial contextual influences (construal level mind-sets) affect stereotyping of self and others.

해석 수준 이론은 사건이나 대상이 상위의 목표, 바람직성, 전체적 처리, 넓은 범주화와 관련된 사고를 하게 되면 더 높고, 더 추상적인 수준으로 표상될 수 있으며 하위의 목표, 실행가능성, 국소적 처리, 좁은 범주화와 관련된 사고를 하게 되면 더 낮고 더 구체적인 수준으로 표상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유사하게, 사회적 대상(자기를 포함하여)은 집단의 멤버로서는 더 넓게 표상될 수 있고, 또는 개인으로서는 더 좁게 표상될 수 있다. 추상적인 해석들이 유사성 초점을 유발하기 때문에, 이로 인해 사회적 대상과 현저한 사회적 범주간의 적합성 지각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관련없는 과제를 통해 개인을 더 추상적인 해석적 사고방식에 두는 것이 더 구체적인 해석적 사고방식에 비해서 현저한 사회적 집단에 대한 고정관념, 자기에 대한 고정관념 일치 특징 평가, 집단 동일시, 고정관념  일치 행동의 사용과 활성화를 증가시켰다. 따라서, 비사회적 맥락의 영향(해석 수준 사고방식)은 자신과 타인에 대한 고정관념화에 영향을 미친다.
 


 
블로그 이미지

브라보맨

,
The Effect of Purchase Quantity and Timing on Variety-Seeking Behavior
Itamar Simons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27, No. 2. (May, 1990), pp. 150-162.

Abstract

Two consumer strategies for the purchase of multiple items from a product class are contrasted. In one strategy (simultaneous choices/ sequential consumption), the consumer buys several items on one shopping trip and consumes the item over several consumption occasions. In the other strategy (sequential choices/sequential consumption), the consumer buys one item at a time, just before each consumption occasion. The first strategy is posited to yield more variety seeking than the second. The greater variety seeking is attributed to forces operating in the simultaneous choices/sequential consumption strategy, including uncertainty about future preferences and a desire to simplify the decision. Evidence from three studies, two involving real products and choices, is consistent with these conjecture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 of the results are discussed.

특정 제품군에서 다양한 제품의 구매들에 대한 두개의 소비자 전략이 대조되었다. 첫번째 전략(동시 선택/ 연속 소비)에서, 소비자는 한 번의 쇼핑에서 몇개의 제품들을 구매하고, 그 제품을 몇몇 소비 상황에서 사용한다. 두번째 전략(연속 선택/ 연속 소비)에서, 소비자들은 각 소비 상황의 직전에, 한 번에 하나의 제품을 구매한다. 첫번째 전략은 두번째 전략에 비해서 더 다양한 탐색을 양보할 것으로 가정되었다. 더 많은 다양한 탐색은 동시 선택/ 연속 소비 전략에서의 조작을 강요한 것에 기인하는데, 그것은 미래 선호에 대한 불확실성과 의사결정을 단순화 하고자하는 욕구를 포함한다. 세 개의 연구로 부터의 증거는, 두 개의 실제 제품들과 선택들이 이러한 추측들과 일치한다. 시사점과 결과의 한계가 논의 되었다. 
블로그 이미지

브라보맨

,
2011-전성률-브랜드 위기의 유형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에 관한 연구

전성률, 주태욱, 김경호, 박준형

Journal of Korean Marketing Association Vol. 26 (June) 25~44













 
블로그 이미지

브라보맨

,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ume 55, Issue 4, April 2002, Pages 275-283 

Positioning options for achieving brand association: a psychological categorization framework

Girish Punj, and Junyean Moon

Abstract

The strategic importance of the product positioning decision in achieving success in the marketplace is well recognized. However, there has been relatively limited development of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positioning options that are available to firms. This article proposes a conceptual approach that can assist marketing managers in making a major positioning decision: What type of comparisons should be emphasized to achieve brand association? The framework is derived from the psychological literature on categorization. Five sets of propositions linking product positioning options with the processing of brand level information by consumers are developed. The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e propositions for formulating an associative positioning strategy for a brand are presented.


Author Keywords: Categorization; Product positioning; Brand association; Competitive positioning; Competitive strategy; Positioning strategy

 

1. A theoretical basis for associative positioning: the psychology of categorization

1.1. Representation of product categories

1.2. Linking categorization theory to product positioning

2. Positioning options for seeking brand association

2.1. Exemplar-based positioning

2.2. Abstraction-based positioning

3. Choosing between the associative positioning options: exemplar-based or abstraction-based?

3.1. Product market definition

3.2. Market/competitive structure

3.2.1. Industry organization and history

3.2.2. Market share condition

3.3. Product category's life cycle stage

3.4. Consumer knowledge

4. Managerial implications and conclusion



* 브랜드 포지셔닝의 두 가지 단계
- Phase1. 제품 카테고리의 선두 브랜드와의 연합
- Phase2. 제품 카테고리의 보조적인 브랜드들과의 차별화

* 브랜드 포지셔닝시 소비자들의 비교 과정
- exemplar-based: 특정한 사례 브랜드와의 비교
- abstraction-based: 카테고리의 공통된 속성으로 부터 비롯된 가설적 추상적 브랜드와의 비교

* 소비자들의 사례 vs 추상성의 상대적인 사용은 기억 속에 어떤 종류의 카테고리 지식이 주어진 상황에서 쉽게 접근 가능한지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주장함.



1. 연상적 포지셔닝의 이론적 기초: 범주화의 심리학
- 소비자들은 제품을 확인하고 관련된 정보를 평가하기 위해 제품을 범주화한다(Cohen and Basu, 1987)
- 소비자들은 범주화를 위해, 최초 부호화 당시의 정보 처리에 근거해서 기억 속에 있는 브랜드의 범주적 구조와 각 구조와 관련있는 속성들을 개발함(Alba et al., 1991)
- 그 이후에 범주적 구조의 다른 점을 점화하는 맥락적 단서는 소비자들이 브랜드와 속성 레벨 정보를 어떻게 평가하지에 강한 영향을 미침(Collins and Loftus, 1975)
- 소비자들이 제품 카테고리와 속성 정보를 기억 속에 어떻게 표상하는지에 대해 리뷰함.

1.1. 제품 카테고리의 표상
- 소비자들이 새로운(또는 기존) 제품 카테고리를 어떻게 학습하는 지에 관해 세 가지 모델이 존재함

* 고전적 모델

* 추상화 모델
- 카테고리는 멤버들의 속성들의 중심적인 경향성을 측정함으로써 형성되는 추상체 또는 전형으로 표상됨(Posner and Keele, 1968)
- 소비자들이 실제 브랜드들에 노출되는 것을 통해서 소비자들의 기억 속에 저장되어 있는 가설적인 브랜드들로 구성된 추상체 또는 전형

* 사례 모델
- 카테고리를 대표하는 하나의 전형적인 것은 없음, 카테고리의 사례의 형태로 몇 개가 존재 함(Smith and Medin, 1981)
- 소비자들이 환경 속에서 과거에 접했던 실제의 브랜드들로 구성되어 있음

가장 큰 차이점은
--> 소비자들이 제품 카테고리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서 가상적인 브랜드를 사용 할 수도 있다는 점

- 소비자들은 추상체 or 사례 둘 다로 표상 할 것이다(Barsalou, 1990; Smit, 1990)
- 우리는 카테고리 표상이 추상화/사례 메커니즘 모두로 구성되어 있다는 가정하에 포지셔닝 프레임워크하에서 혼합된 표상 관점을 제시함(Posner, 1986; Brooks, 1987)
- 어떤 모델을 사용하느냐는 주어진 정보 환경에 달려 있다.
- 즉, 시장 상황, 소비자 상황 요인들이 두 모델 중 어느 것을 만드는 단서로서 역할을 할 것임.

1.2. 제품 포지셔닝에 대한 범주화 이론의 적용
- 제품 카테고리에 대해 처음 학습하는 단계: 소비자들은 카테고리에 속하는 속성들에 대한 평균적인 정보를 이해한다.
- 카테고리에 대한 브랜드의 유사성이 그러한 주된 경향성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판단됨.
- 연합 단계에서 포지셔닝은 브랜드와 카테고리간의 동등점을 정립하는 속성들을 사용한 유사성을 정립함(Keller, 1998)

- 카테고리에 대한 적당한 수준의 연합은 중요하다(나중에 생길 미투 브랜드와의 분리를 위해서)
- - 마케터들은 그러한 연합을 얻기 위해 사례 기반 vs 추상체 기반 비교 중 고민함.

2. 브랜드 연상을 추구하기 위한 포지셔닝 대안
2.1. 사례 기반 포지셔닝(Exemplar-based positioning)
- 목적: 시장 리더나 대형 브랜드와의 직접 비교를 통해 고려상품군에 들어가는 것.
- 방법
 -> 경쟁상대에 대하여 포지셔닝(Aaker and Shansby, 1982)
 -> 비교 광고를 사용하여 포지셔닝
- 즉, 새로운 브랜드가 가진 속성이 그 카테고리의 전형적인 속성과 유사하다면 그 카테고리로 분류함.
- 장점: 타겟 고객에게 그 사람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속성에 주의를 기울이게 함으로써 자기도 모르게 "맞춤형" 새로운 브랜드가 될 수 있다. 

2.2. 추상체 기반 포지셔닝(Abstraction-based positioning)
- 목적: 고려상품군에 들어가는 것인데 시장 리더와의 직접 비교는 아님.
- 해당 카테고리의 가상의 브랜드와의 연합을 통해 고려상품군에 들어가는 것이 목표
- 방법
 -> 제품 특징을 이용한 포지셔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
 -> 비비교광고를 통해 가능
- 광고 속에서 어떤 비교 대상이 없기 때문에 기억 속에 있는 제품 카테고리의 속성들로 구성된 것들과 비교.


3. 연상적 포지셔닝 대안들 간의 선택: 사례 or 추상체 기반?
3.1. 제품 시장 정의

명제

상황

Exemplar

Abstraction

명제 1

제품 시장이 포괄적인 수요 수준일 때

 


3.2. 시장/경쟁자 구조

3.2.1. 산업 조직과 역사

명제

상황

Exemplar

Abstraction

명제 2A

독점적인 리더가 있는 시장

 

명제 2A.1

비교 광고가 경쟁자들에 의해 널리 사용될 때

 

명제 2B

독점적인 리더가 없는 시장

 


3.2.2. 시장 점유율 조건

명제

상황

Exemplar

Abstraction

명제 3A

시장 점유율이 높은 브랜드

 

명제 3B

시장 점유율이 낮은 브랜드

 


3.3. 제품 카테고리의 생명 주기 단계

명제

상황

Exemplar

Abstraction

명제 4A

새로운 제품 카테고리로 진입할 때

 

명제 4B

성숙한 제품 카테고리로 진입할 때

 


3.4. 소비자 지식

명제

상황

Exemplar

Abstraction

명제 5A

타겟 소비자가 지식이 풍부할 때

 

명제 5B

타겟 소비자가 지식이 적을 때

 


4. 관리자적 함의 및 결론

블로그 이미지

브라보맨

,
  • 저자명 : 김미혜 ( Mi Hye Kim ) , 전중옥 ( Jung Ok Jeon )
  • 학술지명 :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 권호사항 : Vol.10 No.2 [2009]
  • 발행처 : 한국심리학회
  • 발행처 URL : http://www.koreanpsychology.or.kr
  • 자료유형 : 학술저널

     http://www.riss.kr/link?id=A76384642


    여성을 타겟으로 하는 마케터는 매력성이 높은 모델을 광고에 포함시켜 광고효과를 높이고자 한다. 이에 대해 여러 문헌에서도 매력적인 모델사용이 광고와 제품평가에 있어서 긍정적 효과를 보인다는 증거가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매력성이 높은 모델의 광고효과에 대한 지지가 다소 혼합적인 면이 있고, 항상 지지되고 있지는 않다. 따라서 광고에서 신체적 매력성을 다루는 데 대해 조심스러운 접근이 이루어져야 함을 주장하고 있다.

    마케팅 측면에서는 비록 매력성이 높은 모델 노출이 광고효과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신체적 매력성과 "이상적인 몸매"가 많은 여성들에게 예민한 문제를 야기할 뿐만 아니라, 운동, 약물복용, 수술 등 각종 방법을 동원하며 보기 좋은 외모를 인생의 성공조건으로까지 인식하는 등 외모에 집착하는 현상이 다른 나라보다 한국에서 더 중요하게 지각되고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는 특히 젊은 여성들의 자아개념은 주로 이러한 신체적 매력성으로부터 발생하기도 하고, 여성의 자존감 또한 신체적 매력성과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신체적 매력성이 중요하기 때문에 많은 여성이 자신과 신체적으로 완벽하고 날씬한, 그리고 아름다운  모델과의 비교를 통해 자극을 받고 있다고 한다. 미에 대한 자존감이 강화되면 고매력성 모델과의 미에 대한 비교를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그러한 비교를 통해 감정의 변화와 영향 또한 받게 된다. 즉 매력적인 모델과의 비교는 좌절이나 불안과 같은 부정적 감정을 유발할 수 있다.

    부정적 감정을 연구한 사례를 보면, 젊은 성인 여성의 절반이 화장품광고에 나오는 의류, 헬스케어, 모델과 빈번히 비교하고 있고, 이들의 1/3은 이러한 광고가 자신의 외모에 대한 불만족감을 가지게 한다고 설명했다(Richins, 1991). 즉 일부 여성들은 오히려 이러한 매력적 모델과 자신을 비교함으로써 부정적 감정을 경험하고 있다고 한다.

    한국 사회의 경우 신체, 외모를 둘러싼 각종 매체의 노출과, 이를 추구하려는 여성들, 이에 따르는 성형부작용, 낮은 자존감, 수치심 등에 대한 담론은 활발하나, 이런 현상이 여성의 어떤 붖어적 감정을 가지는지에 대한 학문적 논의는 부족하다.

    현재까지의 ㅕㄴ구는 모두 고매력적 광고모델은 긍정적 감정을 유발하고, 긍정적 감정 상태가 제품구매의도로 연결된다는 것이지만, 소비자의 감정 상태를 하나의 일방적이고 전형적인 형태로 치부하는 것이 연구의 극단성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 또한 고매력 광고모델의 연구에 있어서 사회비교이론을 통한 연구가 극히 제한적이라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람은 항상 광고노출에 대해 사회비교를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일부 여성은 매력적 모델과 자신의 비교결과로써 부정적 감정을 경험할 뿐만 아니라, 고매력적 모델과 모델이 제시한 제품, 모델이 출현한 광고 모두에 대해 비판 가능성이 있다는 것에 착안하여 탐구해 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매력적 모델의 화장품광고를 통해 2가지의 연구문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문제 1. 소비자의 광고모델에 대한 감정은 어떠한가? 광고모델에 대한 가멎ㅇ으 반드시 긍정적인가?

    연구문제2. 광고모델에 대한 부정적 감정을 경험한다면 그 감정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이러한 소비자의 내면적 감정을 파악하기 위해 정량적 조사보다는 심층면접을 채택하고, 홪아품 광고모델에 민감하고화장과 화장품에 대한 관여도가 높은 여자 대학생을 면접 대상으로 정하였다. 이에 따라 여자대학생들과의 심층면접을 통해 광고모델과 제품에 대한 감정 상태를 알아보고자 한다.




    학회에서 최종 편집 과정에서 집중을 안한 것인지, 저자가 외국에서 공부하신 분이신건지...
    아쉽습니다.





     



  • 블로그 이미지

    브라보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