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헌리뷰/JPSP'에 해당되는 글 1건

Construal Level Mind-Sets Moderate Self- and Social Stereotyp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012, Vol. 102, No. 1, 51–68
Sean M. McCrea          Frank Wieber and Andrea L. Myers

Construal level theory suggests that events and objects can be represented at either a higher, more abstract level involving consideration of superordinate goals, desirability, global processing, and broad categorizations or a lower, more concrete level involving consideration of subordinate goals, feasibility, local processing, and narrow categorizations. Analogously, social targets (including the self) can be represented more broadly, as members of a group, or more narrowly, as individuals. Because abstract construals induce a similarity focus, they were predicted to increase the perceived fit between social targets and a salient social category. Accordingly, placing individuals into a more abstract construal mind-set via an unrelated task increased the activation and use of stereotypes of salient social groups, stereotype-consistent trait ratings of the self, group identification, and stereotype-consistent performance relative to more concrete construal mind-sets. Thus, nonsocial contextual influences (construal level mind-sets) affect stereotyping of self and others.

해석 수준 이론은 사건이나 대상이 상위의 목표, 바람직성, 전체적 처리, 넓은 범주화와 관련된 사고를 하게 되면 더 높고, 더 추상적인 수준으로 표상될 수 있으며 하위의 목표, 실행가능성, 국소적 처리, 좁은 범주화와 관련된 사고를 하게 되면 더 낮고 더 구체적인 수준으로 표상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유사하게, 사회적 대상(자기를 포함하여)은 집단의 멤버로서는 더 넓게 표상될 수 있고, 또는 개인으로서는 더 좁게 표상될 수 있다. 추상적인 해석들이 유사성 초점을 유발하기 때문에, 이로 인해 사회적 대상과 현저한 사회적 범주간의 적합성 지각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관련없는 과제를 통해 개인을 더 추상적인 해석적 사고방식에 두는 것이 더 구체적인 해석적 사고방식에 비해서 현저한 사회적 집단에 대한 고정관념, 자기에 대한 고정관념 일치 특징 평가, 집단 동일시, 고정관념  일치 행동의 사용과 활성화를 증가시켰다. 따라서, 비사회적 맥락의 영향(해석 수준 사고방식)은 자신과 타인에 대한 고정관념화에 영향을 미친다.
 


 
블로그 이미지

브라보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