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들어가는 글: 과학적 사고를 찾아 떠나는 여행
Part 1 과학 마인드를 이해하자
- 실증: 무언가에 관해서 그것을 사실로서 아는 절차
- 논증: 근거를 전제로 해 어떤 결론을 이끌어 내는 것
-> 과학적 논의를 할 때는 여러 가지 논증의 조합이 필요하다.
- 전제에서 결론을 도출하는 것을 "논증" 혹은 "추론"이라고 합니다.
-> 전제가 되는 것을 "근거", 결론이 되는 것을 "주장"이라고 합니다.
- 의식하고 있지 않아도 "인간은 논증을 한다"
- 논증은 근거를 내고 그 근거에 포함되어 잇지 않은 무언가를 추측해서 끌어낸 결과(주장 or 결론)
-> 추측선 위는 근거, 추측선 아래는 결론(추상적 내용)
- 과학적 논의는 엄밀한 논증이 요구되는데, 논증의 구조라는 점에서는 일상적 논의와 다를 바가 없습니다.
- 결론은 근거로부터 비약해서 얻어진다.
- A에 따라서 A이다. ==> 결론에 새로운 것이 전혀 없어서 생산성이 없다.
- 논증에 의미를 주어 생산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근거 (A)로부터 비약해서 결론 (B)를 이끌어내는 형식이 되야함. - 논증을 성립시키는 주인공
- 논거: 논증의 표면에는 등장하지 않지만 그 배경이 되는 근거와 주장 사이에 들어가 논증의 타당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는 근거 - 논거의 필요성과 중요성
1) 논증 = 주장(결론) + 논증을 지지하는 근거 + 근거와 주장의 결합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한 논거
2) 논거와 근거의 공통점 -> 주장을 지지하는 이유
논거와 근거의 차이점 -> 대부분 논거는 대화나 논의의 표면에 등장하지 않음, 대화나 논의의 배경에 중요 역할. - 논증의 타당성
- 근거와 논거를 종합해 판단한 후 결론을 거부하는 것보다 결론을 받아들이는 편이 합리적이라고 판단되면 그 논증을 타당한 것으로 간주. - 합리적인 판단
- 합리성이란 확률적으로 생각해 보고 가장 일어날 것 같은 일을 생각해 가장 일어날 것 같은 결론을 내는 것이다. - 논증은 무엇 때문에 하는가? : 이유의 중요성
- 자기의 주장이 옳음을 타인에게 표시하기 위해서는 자기 주장의 배경이 된 이유를 주닙하지 않으면 안 된다. - 주장과 결론은 이유에 둘러싸여 있다.
- 결론은 근거보다 추상적이다.
- 구체적인 경험적 사실과 추상적 논거
- 가정: 그 내용이 옳지 않다고 반증될 때까지는 임시로 옳다고 정재혀 있는 사건
- 근거 = 경험적 사실, 논거 = 가정/가설
- 논거는 사실과 직접 대조할 수 없으므로 근거보다 더 추상적이다. - 경험적 사실만을 이유로 삼을 때의 한계
- 논증에 있어서 경험적 사실을 이유로 사용함에도, 경험적 사실은 금방 사용되어 버리고 만다.
- 좋은 논증은 "그 경험적 사실을 사용하면 그 결론이 유도되는가?"라는 질문에 답해야 한다.
- 이것이 논증의 근거로 사용될지 여부, 즉 이것이 사실인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작업이 실증이다.
번역의 문제 때문인지 한두군데 이해가 안가긴하지만, 전반적으로 잘 구성되어 있고
과학적 연구의 과정에 비추어 생각해볼만한 내용들이다.
다음장이 기다려진다! 두근두근. ㅎㅎ
Part 2 일상적인 논의에서 과학적인 논의로
- 일상적 논의에서 과학적 논의로
- 무엇에 대하여 설명하는 것이 명확한가?
- 논의가 논리적으로 전개되고 있는가?
- 사실에 대한 실증을 고려하고 있는가? - 과학이란 어떤 행위인가?
- 과학이란, 관찰한 것을 논리적으로 실증적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 정의 1: 관찰하는 일(사물, 현상, 대상)
- 정의 2: 논리적이라고 하는 것
- 정의 3: 실증적이라고 하는 것
- 정의 4: 설명이란 무엇인가?
Part 3 과학적 설명의 논리
Part 4 이론을 세우고 검증하기
Part 5 과학자의 자세란 무엇인가?
마치는 글: 과학적 사고의 재미를 즐기자
Part 4 이론을 세우고 검증하기
Part 5 과학자의 자세란 무엇인가?
마치는 글: 과학적 사고의 재미를 즐기자
뒷부분은 집중해서 읽느라 정리를 못했다.
담에 읽으면서 다시 하지.
이 책 참 좋은듯. 초보 연구자들에게 짱!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1독 완료] 논리의 기술 (0) | 2011.02.24 |
---|---|
[독서중] 가설사고 생각을 뒤집어라 (0) | 2011.02.18 |
[독서중] 좋은 컨셉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0) | 2011.02.13 |
[독서중] 포지셔닝 (0) | 2011.02.12 |
[독서중] 모든 학문과 정치의 시작 토론 (0) | 2011.02.09 |